목회편지

HOME > 설교와칼럼 > 목회편지


한국에 이지성이라는 자기계발서 작가가 있는데, 1974년생이니 올해 만 43세로 젊은 나이입니다. 하지만 이미 20대에 작가로 데뷔하여 벌써 여러 권의 베스트셀러를 냈으니 참 대단합니다. 물론 인문학을 가지고 장사(?)를 한다는 비판을 받는 등, 호불호가 분명히 갈리는 작가이기는 하지만, 배울 점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얼마 전부터 그가 쓴 <생각하는 인문학>을 읽고 있는데, 거기에 좋은 내용들이 많습니다.


2015년에 발간된 이 책의 통계에 의하면, 한국 사람들은 연평균 330잔의 커피, 120병의 맥주, 90병의 소주를 마신다고 합니다. 그리고 매일 3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3시간 이상을 TV 시청에 소비합니다. 그런데 책은 1년에 단 1권도 읽지 않는 사람들이 대다수입니다. 이 통계를 말한 후에 저자가 던지는 질문이 마음을 찌릅니다. “당신은 이런 나라에 미래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한국인과 유대인을 비교해보면, 인구는 5000만 명 대 1400만 명인 반면, 노벨상 수상자 수는 1명 대 184명입니다. 신기한 것은, 2012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한국이 1위이고 이스라엘은 33위였습니다. 그 해에 한국은 화학과 지구과학 올림피아드에서도 모두 세계 1위였습니다. 2002년 조사한 국민 평균 지능지수(IQ)에서도, 한국은 평균 106으로 대만에 이어 2위였고, 이스라엘은 평균 9526위였습니다.


이런 수치와 순위를 보면, 한국이 유대인들보다 노벨상 수상자가 훨씬 많아야 할 텐데 현실은 정반대입니다. 사실 유대인들은 지난 수백 년 동안 서구의 명문 교육에는 근처에도 갈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근대 이후 정치, 경제, 금융, 언론, 철학, 문학, 음악, 미술, 영화 등 다수의 분야에서 정상에 오를 수 있게 된 비결은 바로 구약성경 교육과 <탈무드> 교육의 힘 때문이었다는 것입니다.


한국의 현실을 보면 학생들은 국영수 위주에다 주로 암기식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 중 독서를 하는 사람은 아주 적을뿐더러, 문학, 역사, 철학 등의 인문학 분야를 읽고 공부하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0.01%도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은 지금 보이지 않게 망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저처럼 미국에 30년 이상 산 사람들은 지난 수년간 중국(원래 중공이었던)의 경제적 발전이 놀라우면서도 생소하게 느껴지리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더욱 무서운 것은, 문화혁명 때 공자의 유교사상을 없애버렸던 중국이 몇 년 전부터 인문학 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사서삼경논어’, ‘맹자’, ‘중용’, ‘대학’, ‘시경’, ‘서경’, ‘주역을 달달 외우고 토론하게 하는 초중고교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한국의 교과서와 <논어>, <맹자> 등을 비교해본다면, 그 수준은 비교조차 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 차이가 한국과 중국의 미래의 차이가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2년 전 이맘때 저는 가족과 함께 안식월을 맞아 유럽의 주요 도시들을 방문하고 있었습니다. 그 전까지 저는 미술에 거의 관심이 없었는데, 아테네, 파리, 피렌체, 로마 등에서 역사적으로 유명한 작품들과 건축물들을 실제로 접하고 나서부터 미술과 더불어 그것을 낳은 배경이 되는 문화와 역사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기독교가 서구 사회에 미친 영향이 지대한데, 서구인들은 그것을 음악, 미술, 건축 등의 문화로 표현해냈습니다. 그 모든 것의 바탕에는 성경이 있었고, 또 철학을 비롯한 인문학이 있었습니다. 결국 그 모든 바탕에는 생각함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요즘 문화는 온갖 미디어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우리로 하여금 생각을 하지 않고 살게 만듭니다. 이런 때일수록 성경을 열심히 읽고 독서도 열심히 하면서 묵상하는 사람, 생각하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생각하는 사람에게 미래가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1 #777: 죽음 이후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온 제사 (9/27/20) - 이수관 목사 file admin_p 2020.09.27 134
420 #776: 이렇게도 컨퍼런스가 되네요 (9/20/2020) file admin_p 2020.09.20 99
419 #775: 6개월 만에 현장 예배를 재개한 소감 (9/13/2020) file admin_p 2020.09.13 121
418 #774: 오랜만인데 오랜만이 아닌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은 (9/6/2020) file admin_p 2020.09.06 113
417 #773: 현장 예배냐, 온라인 예배냐? (8/30/2020) file admin_p 2020.08.30 126
416 #772: 한국 교회를 위해 간절히 기도해야 할 때 (8/23/2020) file admin_p 2020.08.23 111
415 #771: 현장예배 재개를 준비하며 기억할 점들 (8/16/2020) file admin_p 2020.08.16 116
414 #770: 우리가 코로나 시대의 다니엘과 에스겔이 된다면 (8/9/2020) file admin_p 2020.08.09 278
413 #769: 지금은 신앙생활의 진정성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 (8/2/2020) file admin_p 2020.08.02 169
412 #768: 코로나 시대의 신앙생활을 위한 아이디어 모으기 file admin_p 2020.07.26 208
411 #767: 나태할 수 있는 상황에서 영적으로 몸부림치기 (7/19/2020) file admin_p 2020.07.19 181
410 #766: 다음 주일(19일)부터 예배가 1부와 2부로 나뉩니다 (7/12/2020) file admin_p 2020.07.11 103
409 #765: 교회의 미래를 향한 고민 (7/5/2020) file admin_p 2020.07.04 155
408 #764: 다음 주일(7월 5일) 주일예배 재개를 위해 필요한 일들 (6/28/2020) file admin_p 2020.06.28 98
407 #763: 과연 컨택트 시대는 가고 언택트 시대가 올 것인가? (6/21/2020) file admin_p 2020.06.21 274
406 #762: 교회 예배 재개를 위하여 협력해야 할 일들 (6/14/2020) file admin_p 2020.06.14 116
405 #761: 표면적이고 단편적인 정보로만 판단하는 어리석음 (6/7/2020) file admin_p 2020.06.07 114
404 #760: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인데 사람들의 처지를 고려하라? (5/31/2020) file admin_p 2020.05.30 150
403 #759: 무모함과 두려움 사이의 균형을 잡아야 (5/24/2020) - 이수관 목사 admin_p 2020.05.23 167
402 #758: 어떤 것보다 중요한 것은 태도 (5/17/2020) admin_p 2020.05.17 145


9480 S. Old State Rd, Lewis Center, OH 43035 / Tel: (614) 433-7155 / E-mail: kpccoh@gmail.com